자기계발의 중요성(4)
자기계발의 중요성(4)
  • 관리자
  • 승인 2007.08.22 10: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기계발 사례


글 / 양동일

·기술사/공학박사
·(현)금호건설현장 소장


‘자기계발’의 뜻을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지능을 깨우쳐 열어줌, 창의력 계발, 계몽, 문답을 통하여 자발적으로 깨달아 알게 하고 창의와 자발성을 길러주는 것을 말한다. 필자는 “지속적인 자기계발이야말로 노후를 위한 가장 확실한 보험이며 다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본 주제와는 다소의 거리가 있겠지만, 먼저 하루가 다르게 변화된 주변 환경을 바라보자. 21세기의 변화는 속도와 다양성으로 구분된다. 이에 따라 사회에서 요구하는 지식 역시 이 범주에 있고, 필요 인력 또한 이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있다.

최근 인터넷을 통해 이 세상에서 가장 많은 전자도서관과 검색기능으로 무장한 젊은이들은 도서관에서 많은 책들과 씨름하고 많은 신문과 인쇄물 속에서 정보를 찾고자 하는 기성세대들을 이해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 때문에 그동안 강한 리더십에 의한 집단화 및 단결조직보다는 다양한 사고 및 능동적인 의사결정 조직이 각광받고 있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자 대세이다.

얼마 전 어머니가 아들과의 대화를 위해 컴퓨터를 통해 채팅을 배우는 CF광고는 기성세대의 자기계발의 필요성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제 중년의 자기계발은 자기를 위한 것이 아니라, 가족과 사회의 일환으로 살아가기 위한 필수조건인 것이다. 요즘 휴대폰으로 문자를 주고받고 싸이를 통하여 친분관계를 맺는 일은 더 이상 새롭지도 않으며, 이도 못하는 사람을 새롭게 보는 시대는 오래전 일이다. 국민소득 2만불을 넘고 소득이 높아갈수록 그에 맞는 문화활동을 영유하고 살기 위해서는 이제 우리는 가족 중 혼자 벌어서는 힘든 시대라는 것을 느끼고 있을 것이다.
이에 맞벌이나 부업을 해야 한다는 필요성은 우리보다 앞선 선진국을 살펴보면 잘 알 수 있다. 지금 내가 시작해야 할 자기계발이 의무로까지 느껴지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가 아닌가?

그럼 자기계발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라는 의문에 가장 선행해야 할 것은 바로 관심과 열정이다. 최근 인터넷 UCC(User Creative Contents) 동영상을 통해 세상에 정보를 알리는 일은 이에 대한 관심이 없는 사람에게는 새로운 이야기일 수밖에 없고, UCC도 모르는 사람으로 전략해 버린다. 새로운 것에 관심을 갖고 이를 받아들이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주변에서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 길거리에서 B보이의 배틀을 유심히 보고 있는 중년의 신사가 그냥 할일 없는 주책으로 느껴지지 않고, 공원의 벤치에 앉아서 손녀에게 휴대폰 문자를 보내는 할머니가 더 이상 신기하게 보이지 않을 때 나의 변화는 시작된다고 하겠다.

이러한 급변화된 환경에 위기감을 가지고 이에 적응하고자 우리 건설현장에서는 자기계발 및 프리젠테이션을 실시했는데(사진참조), 이에 대한 사례를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발표방법에 있어서는 필자가 발표자에게 자기계발 및 프리젠테이션에 관한 두 권의 책을 각각 추천해 발표를 하도록 했으며, 이에 대해 참여자 모두가 토론하고 평가하는 시간을 가졌다. 발표목적은 당연히 직원들의 프리젠테이션 능력향상을 위한 것이다.

첫 번째 프리젠터는 40대에 접어들면서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에 대한 발표 주제였는데,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사람은 마흔 살이 넘어서 고민하고 해야 될 일들이 너무나 많다. 먼저 혼자서 즐기는 방법을 깨달아야 할 뿐만 아니라, 남들보다 앞서서 생각하고 미래를 건전하게 준비해야 한다.

보통 사람들은 마흔을 전후하여 나머지 인생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를 계획한 꿈들을 실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밤을 새워 꼬리에 꼬리를 물고 고민하기도 한다. 당연히 필자도 마찬가지였다. 마흔 살이 되어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을 지키지 못하면 나머지 인생이 서러워지기 때문에 건강관리를 습관화시키는 데 게을리 하면 안 된다. 40대는 건강한 노후를 생각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이기 때문이며, 그 노력은 평생 동안 지속돼야 한다. 또한 우리는 어학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게는 10년을 많게는 30년 이상을 고생하게 된다. 어학실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은 상당히 중요한데,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첫째, 자신의 의사를 상대편에게 걸림 없이 그대로 전달함으로서 커뮤니케이션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둘째, 40대 이후의 인생을 좀 더 창조적으로 보내기 위해서는 인터넷 등 새로운 정보 통신기술의 활용이 필수적인데, 어학실력을 향상시킴으로서 글로벌한 마인드를 갖게 되어 꿈이나 비전설계에도 큰 도움이 되어 시야를 넓혀주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인터넷에서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시사, 국제정세, 문화 각 부문에 걸친 다양한 정보를 얻어 활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가정생활 등 많은 내용을 발표에 포함했다.

두 번째 프리젠터의 주제는 프리젠테이션의 중요성에 대해 발표했는데, 전문가들은 “세상을 살아가면서 프리젠테이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거의 없다”고 말한다. 그렇다! 프리젠테이션이 아닌 것이 무엇인가? 그러므로 대단히 중요하다. 먼저 성공적인 프리젠테이션을 위해서는 7가지 요소가 있는데, 전략, 철저한 준비, 강한 자신감과 열정, 커뮤니케이션 스킬, 바디 랭귀지의 활용, 각종 비주얼 프리젠테이션, 리허설이다.

프리젠테이션을 잘 하려면 먼저 풍부한 지식을 가진 그 분야에 전문가일 뿐만 아니라 자신감을 보여줘야만 시청자들로부터 강한 신뢰감을 얻을 수 있다. 필자는 이와 같이 40대 나이의 자기계발 및 프리젠테이션의 중요성에 대해 깊이 인식했던 바, 직장에서의 발표 사례를 주제로 삼아 간단히 소개했다.

envinews@dreamwiz.com
<저작권자(c)환경공업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제공 : 월간환경21
구독문의 : 02-491-5253


  • 서울시 중랑구 상봉동 136-50 동일빌딩 409호
  • 대표전화 : 02-436-8000, 491-5253
  • 팩스 : 02-496-5588, 432-8004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광재
  • 명칭 : 환경공업신문,엔비뉴스(envinews)
  • 제호 : 환경공업신문,엔비뉴스,환경뉴스,envinews,월간환경21
  • 등록번호 : 서울 다 06504
  • 등록일 : 1989-01-24
  • 발행·편집인 : 이광재
  • 환경공업신문,엔비뉴스,환경뉴스,envinews,월간환경21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3 환경공업신문,엔비뉴스,환경뉴스,envinews,월간환경21.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envinews.co.kr
ND소프트